본문 바로가기

신학/기독론8

골로새서, 에베소서의 기독론 바울 사후 그의 신학적 영향력을 후대 교회에 적용하기 위해 바울의 이름으로 쓰여진 서신을 제2 바울 서신이라고 한다. 바울이 저자로 명시되어 있지만 후대 교회의 신학적 견해나 정치적 상황들이 많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골로새서나 에베소서를 후대에 쓰여졌다고 추측할 수 있다.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는 골로새서, 그것을 승계하여 교회론에 적용한 에베소서      골로새서와 빌립보서 두 문헌 모두 암시적으로 그리스도가 신적 기원을 가졌다는 것에 동의한다. 하지만 골로새서 1장의 기독론은 빌립보서 2장보다 한 걸음 더 발전된 기독론이다. 골로새서는 빌립보서와 다르게 그리스도가 창조주라는 암시가 나타난다. 골로새서는 보다 능동적으로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차원으로 승격시킨다.      골로새서의 저자가 가지.. 2025. 2. 12.
바울의 기독론 (로마서, 빌립보서, 고린도서) 바울의 기독론은 어떤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다.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체계적이고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사람이 아니다. 바울에게 중요한 것은 자신의 선포를 듣고 이방인들의 회심하는 것이지 그리스도의 인격과 신성을 논리적으로,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었다. 이런 이유에서 그의 서신에서는 예수에 대한 이야기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나마 우리는 바울이 예수 그리스도를 설명하는 몇 가지 본문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본문이 바로 빌립보서 2장, 로마서 5장, 고린도전서 8장, 15장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문에서 또한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의 정체성을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데 있지 않고, 로마와 고린도교회에 전달하는 서신의 콘텍스트(즉, 케리그마, 이방인 선교, 유대인 크리스천과 이방인 사이의 갈등 등.. 2025. 2. 10.
고기독론과 저기독론, 누가 우리를 구원하셨나? 그리스도인들은 삼위일체라는 교리를 통해 예수님을 이해한다. 다시 말해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과 동등한 위격을 가진 분으로 이해하며, 십자가의 대속과 성부 하나님과의 화해부터 현대에 살고 있는 우리 개개인의 삶과 구원 등을 태초부터 계획하시고 주도적으로 실행하신 주체로 이해한다. 그러나 신약성서의 모든 저자들이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을까? 신약 저자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정체성을 색다르게 보고한다. 기독론과 신약 성서의 배경 : 유대교와의 강한 대립        기독교와 유대교 최초의 갈등은 신학적 이유에서보다는 사회적 요소 때문이었다. 기독교의 신인 예수 자체가 이미 유대인들과 로마 지도자들에게 정치적 두려움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예수와 예수를 따르는 사람들이 하나의 거대한 세력으로 .. 2025. 2. 8.
기독론이란 무엇인가? 기독론이란?     기독론이란 무엇인가? 기독론은 기독교의 한 분과인가? 신학은 영어로 Theology이고, 독일어로는 Theologie이다. 이는 라틴어 Theoligia에서부터 왔고, Theoligia는 그리스어 θεός (Teos, 하나님) + λόγος (logos말씀)의 합성어이다. 다시 말해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학문이 Theology의 의미다. 그런데 이것은 유대인들만의 의미다. 왜냐하면 기독교는 하나님의 말씀 그 자체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그리스도로 나타난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말씀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독교는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 구약을 이해해야 한다. 기독교에서 엄밀한 의미의 신학이란, 그리스도 밖의 하나님은 없다는 것이다.. 2025. 2. 7.
마가복음의 신학과 메시아 비밀, 왜 예수님은 자신의 정체를 숨기셨을까? 마가복음서의 메시아 비밀     마가복음에만 있는 특별한 본문들이 있다. 신학자들은 그것을 "메시아 비밀"이라고 명명하는데, 이는 예수님이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고자 기적을 경험하거나 목격한 주체들, 귀신들에게 침묵을 명하시는 본문들을 일컫는다.  귀신들에게 명하신 침묵 - 1:25, 34, 3:12예수께서 꾸짖어 이르시되 잠잠하고 그 사람에게서 나오라 하시니 (1:25)예수께서 각종 병이 든 많은 사람을 고치시며 많은 귀신을 내쫓으시되 귀신이 자기를 알므로 그 말하는 것을 허락하지 아니하시니라 (1:34)예수께서 자기를 나타내지 말라고 많이 경고하시니라 (3:12)기적을 행한 후 명하신 침묵 - 1:43-45, 5:43, 7:36, 8:26곧 보내시며 엄히 경고하사이르시되 삼가 아무에게 아무 말도 하지 .. 2024. 12. 16.
누가복음의 기독론, 누가복음에 기록된 예수의 정체성과 구원사 누가는 자신의 글에 예수님을 어떤 이미지로 나타내보이고 있으며, 구원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특별히 누가는 요한이나 마태처럼 예수를 어떤 특정한 이미지로서 제시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그는 오히려 구약의 예언자들-예수-사도 라는 하나님의 역사적인 구원사업에 대한 신앙적인 이해에 훨씬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나님의 구원사가 중심적인 목적이다보니, 예수님보다 하나님의 역할이 더 강조되는 것이 특징이며, 예수님을 하나님과 동등한 위격으로 드러내지 못하는 저기독론이 문제가 된다. 누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세례 요한을 의도적으로 깎아내려 예수의 권위를 높인다.   누가복음 안의 세례 요한을 통해 보는 예수님의 정체성     교회에서는 일반적으로 세례 요한을 위대한 선지자로 가르친다. 그는 예수님을 메시아로.. 2024.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