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 억압과 불안, 증상의 관계 (억압, 증상 그리고 불안, 1926)
억압과 불안의 관계 불안은 언제 일어나는가? 그리고 불안은 억제, 억압, 증상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이전에는 방출하기를 기대하던 이드의 추동을 자아가 다루는 과정에서 억압이 이루어지고, 방출되지 못한 리비도들의 집중이 불안을 발생시킨다는 견해를 고수했다. 이는 과연 타당한가? 우리는 자아가 불안의 실질적인 근원이라는 개념을 당연히 고수할 수 있고, 우리가 전에 취했던 견해, 즉 억압된 충동에 리비도를 집중하게 하는 에너지는 자연히 불안으로 바뀐다는 견해를 포기할 수 있었다. (프로이트, , 214) 자아는 자기 보존 본능을 가장 중요한 본능이자 원칙으로 삼으며, 이드는 방출만을 목적으로 삼는다. 방출되고자 하는 충동이 올라오면 자아는 곧장 불안을 생성한다. 왜냐하면 충동을 만족시키는 것은 ..
2025. 2. 5.
프로이트: 분석가는 자신의 해석을 어떻게 확신하는가? (분석에 있어서 구성의 문제 1937)
분석가의 임무와 분석 과정그의 임무는 망각을 빠져 나온 징후들에 의거하여, 잊혀진 것을 알아맞히는 것, 정확히 말해서, 그것을 구성하는 것이다.구성은 피분석자가 잊어버린 선사를, 분석가가 그에게 제시해 줄 때 쓰는 말이다.(프로이트, , 287, 290) 피분석자의 임무는 억압된 기억을 회상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석가의 임무는 자유연상의 재료들을 가지고 구성하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비유에 따르면 분석가는 마치 고고학자와 같다. 선사 시대의 소실된 유물들을 재구성 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실되는 역사적 유물과는 다르게, 억압된 심리 구성물들은 결코 소실되지 않고, 그저 기억에 떠오르지 않을 뿐이다. 또한 고고학자는 그저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반면에, 분석가는 구성 이후 계속된 ..
2025. 1. 31.
프로이트 : 이드, 자아, 초자아 (자아와 이드, 1923)
프로이트는「자아와 이드」에서 세 가지 정신의 심급에 대해서 발표했다. 이전까지는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모든 것을 설명했지만, 프로이트는 이 세 가지 심급을 이 논문에서 이드, 자아, 초자아로 바꾸었다. 자아의 탄생과 기능 가장 핵심은 자아가 무의식에 포함된 일부라는 것이다. 정확히 말해 자아는 이드의 일부이다. 자아는 이드가 외부 세계와 관계할 때 자신을 보호할 목적으로 이드가 자신을 변화시킨 한 부분이다. 왜냐하면 이드는 오로지 긴장 해소, 충동의 방출만을 원하기 때문이다. 자아는 현실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이드의 충동에 저항하거나 억압해야하고, 또한 이드의 충동을 방출시켜주어야 하기 때문에 충동을 현실에 맞는 방법으로 변형시켜서 방출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초자아로부터 압박을 받으니, ..
2025.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