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4

프로이트 : 꼬마 한스의 공포증 분석 (1909), (거세 공포와 어린아이의 성 이론) (1909)과 거세 공포, 어린아이의 성 이론  이 글은 에 대한 요약이다. 프로이트는 이 논문을 통해 유아들이 기질적으로 성욕을 가진다는 견해를 본격적으로 사례에 적용했으며, 그 성욕이 거세 공포라는 금지와 만나며 어떻게 증상을 발생시키는지에 대하여 서술한다.   프로이트의 저작은 한 권이 아니라 수십권이다. 그는 정신분석을 만든 이후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수많은 글을 썼으며, 이 긴 세월동안 정신분석 개념들은 발전했고 수정되었다. 우리가 프로이트의 1차 저작을 읽기 힘든 이유는 바로 이런 긴 시간과 역사에 근거한 변화무쌍한 이론과 개념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역사적인 프로이트의 저작들을 읽을 때, 그가 어느 이론적 체계를 가지고 환자를 분석했는지, 그 환자로부터 무엇을 얻어냈는지 알아내는 것이 .. 2024. 12. 1.
프로이트 : 성욕에 대한 세 편의 에세이 (1905) (심리성적 발달이론) (1905)와 심리성적 발달이론   오늘은 그 유명한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에 대해서 다루어볼까 한다. 우리는 교양 수업, 교과서, 다양한 심리상담 관련 자격증에서 심리성적 발달이론을 볼 수 있다(구강기-항문기-성기기-잠재기-생식기 라고하는). 그러나 대부분 학생들은 이를 개론적으로 배우거나 시험에 통과하기 위해 외우기만 할 뿐, 이 발달 이론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 수 없다. 그리고 이를 설명하고 있는 많은 유튜브나 블로그에 있는 자료 또한, 1차 자료와 같은 출처가 전무하며, 전문적인 임상 지식에 근거해있지 않고 단지 사전적이거나 잘못된 지식이 대부분이다. 오늘의 주제인 (1905)는 심리성적 발달이론의 근거가 되는 논문이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이 논문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논문에서도 다양.. 2024. 11. 30.
프로이트 : 도라의 히스테리 분석 1901 (1905) 과 정신분석학의 진보     이 글은 프로이트의 (1901)이라는 사례의 배경, 이 사례가 정신분석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 사례에 적용된 초기 정신분석의 이론적 모델 등에 대하여 다룬다.     모든 프로이트의 사례들이 그렇겠지만, 도라는 특히나 논란이 많은 사례 중 하나이다. 프로이트가 도라를 분석할 때 도라의 억압된 성욕만을 중점으로 두고 분석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라는 대상관계이론이나 자아심리학, 가족치료이론 등 다른 관점으로 충분히 분석될 수 있는 사례이다. 도라의 아버지의 불륜, 도라와 K씨 부인의 관계(프로이트가 동성애적 리비도라고 일축해버렸던), 도라와 도라의 아버지에게 소외되었던 어머니 등 이 논문 안에 있는 자료만을 가지고도 도라를 억압된 리비도라는 관점만으로는 분석하기 충분하지 않다... 2024. 11. 28.
프로이트 : 망각의 심리 기제에 대하여(1898), 망각의 원인과 기제 프로이트 : 망각의 심리 기제에 대하여(1898), 망각의 원인과 기제 이 글에서는 프로이트의 (1898)를 통해 망각의 원인과 기제를 알아본다. 프로이트는 이 글에서 신경증뿐만 아니라 망각 또한 억압에 의해 발생한다고 서술한다. 망각과 신경증은 억압과 대체물이라는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망각는 억압 때문이다? 우리는 왜 망각할까? 물론 인간은 망각한다. 그러나 여기서 프로이트가 말하는 망각은 굉장히 부자연스러운 망각이다. 이를테면 때때로 친숙하게 알고 있던 어떤 단어가 갑자기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러면서 주변 사람들에게 “그게 뭐였지?” 하고 묻지만 주변 사람들은 모른다고 한다. 그러나 나는 분명 그 단어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 단어를 떠올리려고 주의를 기울이고 집중을 해보지만,.. 2024. 11. 27.
프로이트 : <꿈의 해석> 1~6장 요약과 꿈의 메커니즘 프로이트 :  1~6장 요약과 꿈의 메커니즘필자는 이 글에서 (1900)의 배경, 꿈을 꾸는 이유와 목적, 꿈이 만들어지는 메커니즘(꿈-작업) 등 사례를 통해 6장까지의 내용을 요약 서술할 것이다.   100년도 더 전에 인류는 이미 이 책을 통하여 내가 꾸는 꿈의 의미와 진실에 다가갈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근거 없는 해몽이나 운세에 자신의 꿈의 의미를 맡겨버린다. 물론 과학적으로 계몽된 현대인들 중 해몽이나 운세를 진지하게 믿는 자는 매우 드물다. 그러나 동시에 현대인들은 꿈 자체를 의미없는 것, 혹은 뇌의 어떤 화학적이고 생물학적인 작용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프로이트부터 지금까지 연구된 임상적 자료들, 사례들에 따르면 꿈은 분명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도 우리.. 2024. 11. 27.
프로이트 : 히스테리와 억압이론 (정신분석학의 탄생) 초기 프로이트 ≈ 히스테리와 억압     이 글은 정신분석학의 탄생과 초기 개념을 다루고 있다. 프로이트는 그때 당시 의학계에서 배제되었던 히스테리 환자들을 연구하며 무의식이라는 지평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글에서 설명할 히스테리, 무의식, 억압은 정신분석학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들이다.      우리가 대학에서 교양수업을 들을 때, 아니면 어느 심리학 저서를 읽거나 상담관련 자격증을 따고자 할 때 꼭 등장하는 이름이 있다. 바로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이다. 정신분석학은 대상관계이론, 인지치료이론 등 현대 상담학과 심리학, 철학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되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하다. 또한 독일을 포함한 서구권 국가의 대부분은 의료 보험에 라는 항목이 필수적으로 들어가 있는 만큼 정신분석학이 보편화되어 있다. .. 2024. 11. 26.